韓 장 문화 전승·활용방안 모색…유네스코 등재 가능성 검토 – 탐정사무소 인천탐정사무소 서울탐정사무소

탐정사무소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우리나라 전통 장 문화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차기 유네스코 등재 가능성을 검토하는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한식진흥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한식문화공간 이음홀에서 ‘2025 제2차 한식연구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의 보호와 전승 방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무형유산 전문가들이 모여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의 전승·보호·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차기 한식 분야 무형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가능성을 검토했다.이날 정혜경 호서대학교 명예교수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등재 의의와 보호·전승 방안’을 주제로 장 문화의 무형유산적 가치와 전승 사례를 공유했다. 정혜경 교수는 “장 문화가 성평등, 보건, 교육, 참여적 경제발전 등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가치에 부합하며 지속 가능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안정윤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은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세대 간 전승’을 주제로, 어린이 대상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소개했다.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 원장은 ‘한식 분야 차기 유네스코 등재 후보에 대한 논의’를 통해 떡 문화, 전통주 문화, 사찰음식 문화, 비빔밥 문화 등을 후보군으로 제시했다.종합토론에서는 임돈희 동국대학교 종신석좌교수가 좌장을 맡아 발표자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갔다. 임돈희 교수는 장 문화 전승 공동체에 대한 민속조사와 자료화, 그리고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장 무형유산센터’ 건립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아울러 함 원장은 전통주의 경우 현재 막걸리만 국내목록화가 되어있는 상황을 지적하며 “막걸리·청주·소주 등 다양한 공통체가 통일된 용어인 전통주로 목록화를 추진한다면 유네스코 등재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규민 한식진흥원 이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장 문화의 보호와 전승 방안을 강구하고 한식 분야 무형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  서울탐정사무소의심되는 사실을 빠르게 확인하고, 분쟁 전 증거를 체계적으로 수집합니다. 서울권은 서울탐정사무소, 경기·인천권은 인천탐정사무소가 전담하여 이동 시간과 비용을 줄였습니다. 탐정사무소 전담 매니저가 사건 목적·법적 한계·예상 절차를 선 안내하고, 진행 중에는 보고서를 단계별로 공유합니다. 불법 촬영·위치추적·통신비밀 침해 등 불법 의뢰는 일절 수임하지 않습니다. 서울탐정사무소와 인천탐정사무소의 검증된 프로세스로, 신뢰할 수 있는 탐정사무소 상담을 지금 받아보세요.탐정사무소 인천탐정사무소 서울탐정사무소 #탐정사무소 #인천탐정사무소 #서울탐정사무소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