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사무소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올해 2분기 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GRDP)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 하지만 충청권, 호남권, 동남권은 오히려 성장률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하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성장 격차가 확대됐다.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실질 지역내총생산’에 따르면 2분기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전년 동기 대비 GRDP 성장률은 1.6%를 기록해, 1분기(0.1%)에 비해 1.5%포인트(p) 상승했다. 전국 5개 권역 중 가장 높은 수치다.하지만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과 호남권(광주·전북·전남),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은 2분기 들어 GR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충청권은 0.1%에서 -0.4%로, 호남권은 0.3%에서 -2.0%으로, 동남권은 0.4%에서 -1.0%로 떨어졌다. 대경권(대구·경북)의 경우 성장률이 1분기 -0.4%에서 2분기 0.1%로 반등했지만 전국 평균(0.4%)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건설업 부진이 지역 경제 성장의 가장 큰 제약 요인으로 작용했다.수도권의 경우 건설업이 역성장(-9.5%)했지만 광업·제조업(4.5%)과 서비스업(1.8%)은 전분기 대비 상승했다. 충청권은 건설업이 -8.0%을 기록했고 광업·제조업은 0.6%, 서비스업은 1.2%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호남권은 건설업(-15.6%), 광업·제조업(-1.5%), 서비스업(-0.2%)이 모두 뒷걸음질을 쳤다. 동남권은 건설업(-8.1%)과 광업·제조업(-1.7%)이 마이너스를, 서비스업(1.0%)은 플러스를 기록했다.대경권은 건설업(-18.5%)이 두자릿수의 역성장을 나타냈고 서비스업(-0.3%)도 부진했지만 광업·제조업이 4.4% 성장했다.시도별 성장률을 보면 충북(5.8%)의 성장률이 가장 높았고 서울(1.2%), 경기(2.7%), 부산(0.7%), 경북(1.9%) 등 총 5개 지역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하지만 5개 지역을 제외한 12개 지역은 역성장했다. 충남(-3.9%)과 제주(-3.7%)의 GRDP 감소폭이 가장 컸다. 대구(-3.2%), 인천(-1.6%), 광주(-0.9%), 대전(-0.6%), 울산(-1.0%), 세종(-0.3%), 강원(-0.5%), 전북(-0.9%), 전남(-3.2%), 경남(-2.2%)도 역성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의심되는 사실을 빠르게 확인하고, 분쟁 전 증거를 체계적으로 수집합니다. 서울권은 서울탐정사무소, 경기·인천권은 인천탐정사무소가 전담하여 이동 시간과 비용을 줄였습니다. 탐정사무소 전담 매니저가 사건 목적·법적 한계·예상 절차를 선 안내하고, 진행 중에는 보고서를 단계별로 공유합니다. 불법 촬영·위치추적·통신비밀 침해 등 불법 의뢰는 일절 수임하지 않습니다. 서울탐정사무소와 인천탐정사무소의 검증된 프로세스로, 신뢰할 수 있는 탐정사무소 상담을 지금 받아보세요.탐정사무소 인천탐정사무소 서울탐정사무소 #탐정사무소 #인천탐정사무소 #서울탐정사무소